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알바도 받을 수 있는 청년 지원금 3가지

by MyHubtok 2025. 7. 20.

밝고 희망찬 표정의 청년과 ‘알바도 받을 수 있는 청년 지원금 3가지’라는 문구가 포함된 정보형 썸네일 이미지
청년지원금 3가지

💡 알바도 받을 수 있는 청년 지원금 3가지 (2025 최신판)

“나는 알바라서 해당 안 되겠지…” 이렇게 생각하셨다면 오늘 글이 도움이 되실 거예요. 단기근로자나 비정규직 청년도 ‘소득 기준’이나 ‘근로 시간’이 충족되면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이 있습니다. 아래 글에서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세요.

1️⃣ 청년도약계좌 – 알바도 가능!

2025년에도 계속되는 대표 청년 자산형성 정책입니다. 근로소득이 있으면 가능하며, 정규직이 아니어도 괜찮아요.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시 정부가 1:1 매칭으로 지원금을 더해 줍니다.

신청 조건: 만 19~34세, 근로소득 5,000만 원 이하

신청처: 주요 은행 앱 / 청년희망적금 플랫폼

2️⃣ 청년내일 저축계좌 – 월 10만 원 넣으면 30만 원이 된다고🍀

중위소득 100% 이하 청년이 대상이며, 정부가 매월 20만 원을 추가로 적립해 줍니다. 월 10만 원 저축 시 3년 후 약 1,440만 원 모을 수 있어요.

포인트: 알바 중에도 6개월 이상 근로소득이 있다면 신청 가능!

신청처: 복지로 사이트 또는 주민센터

3️⃣ 청년특별구직지원금 (지자체별)

서울, 경기, 인천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아르바이트나 단기근로 중인 청년에게도 구직활동 명목으로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금을 지급합니다. 지자체 홈페이지나 청년센터 공고를 확인해 보세요.

💡 실제 사례로 보는 청년 지원금

  • 사례 1. 대학생 A 씨는 카페 알바로 월 90만 원을 벌면서 '청년도약계좌'를 신청해 정부 매칭을 받았어요.
  • 사례 2. 프리랜서 B 씨는 작년 청년내일 저축계좌에 가입해 3년간 꾸준히 적립 중이에요. “정규직만 되는 줄 알았는데, 알고 보니 소득만 있으면 신청 가능하더라고요.”

📢 청년정책, 한눈에 보는 방법

정부 및 지자체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청년 지원 정책은 ‘청년정책 플랫폼’에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새로운 지원금 정보나 모집 공고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.

👉 청년정책플랫폼 바로가기

📌 지원금 신청 팁

  • 서류 준비 시 급여 명세서, 통장 사본, 근로계약서 등이 있으면 유리합니다.
  • 신청 기한이 정해진 제도도 많으니 '청년정책 플랫폼'이나 복지로를 자주 확인하세요.

✏️ 글 더 보기

  🪴 허브톡, 블로그 안내

  🎒 스키폴 공항 짐보관 완벽 가이드

🔗 자료출처

🌿 단기근로자도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시대, 유용한 정보를 놓치지 않고 똑똑하게 챙기는 게 중요합니다. 우리 모두가 조금 더 안정적인 일상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앞으로도 좋은 정보 정리해서 전할게요.

 

🪴 허브톡에서 더 많은 꿀팁과 함께해요.
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인가구 정부혜택 총정리  (2) 2025.07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