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행정보
기내 금지 물품 & 면세 기준 정리
MyHubtok
2025. 7. 21. 17:23
캐리어 싸기 전, 기내 금지 물품 & 면세 기준 정리 확인하기
🧳 캐리어 싸기 전에 꼭 확인! 해외여행을 앞두고 짐을 챙길 때, 기내로 ‘가져가면 안 되는 물건’을 체크하는 것이 현명합니다. 저도 비싼 로션을 통으로 가져갔다가 공항 검색대에서 눈물을 머금고 포기한 적이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기내 반입 금지 품목과 2025년 면세 기준까지 여행자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한눈에 정리해 드리니 참고하세요.
🚫 기내 반입 금지 물품 리스트
물품 | 기내 반입 가능 여부 | 설명 |
---|---|---|
💣 폭발물·가연성 물질 | ❌ 불가 | 부탄가스, 라이터 연료, 불꽃놀이, 페인트 등 |
🔪 날카로운 도구 | ❌ 대부분 불가 | 칼, 가위, 송곳, 면도칼 등 / 손톱깎이는 일부 허용 |
🔋 여분 리튬 배터리 | ✅ 가능 (조건부) | 보조배터리는 기내 수하물로만 가능, 위탁수하물은 불가 |
🥤 액체류 | ✅ 제한적 허용 | 100ml 이하 용기만 가능, 총 1L 이하 투명 지퍼백 1개 내 허용 |
🧯 스프레이류 | ⚠️ 제한 | 가연성 성분이 포함된 스프레이류는 기내 반입 제한 |
🚭 전자담배 | ✅ 반입 가능하나 일부 항공사 반입 불가 |
사용 및 충전은 불가, 반드시 본인 소지품으로만 |
🧴 접착제(본드) | ❌ 대부분 금지 | 소량이라도 가연성 물질로 분류되어 금지 |
🥘 국물 음식 | ❌ 금지 | 완전 포장을 해도 반입 금지 |
🍎 과일, 육류 등 생식품 | ❌ 대부분 금지 | 검역 대상으로 국가별 기준에 따라 반입 불가 |
💸 2025년 기준 면세 한도 정리
- 해외에서 입국 시 1인당 면세 한도는 800달러 (약 108만 원)입니다
- 주류: 1병(1ℓ 이하), 담배: 200개비까지 면세 허용 (단, 성인만 해당)
- 가족이 함께 여행하더라도, 사람마다 면세 한도는 따로 적용됩니다.
만약, 한 사람이 한도를 초과한 물건을 가져온 경우, 그걸 다른 가족 이름으로 나눠 신고하는 건 안 됩니다. - 명품 구매 시에는 영수증을 꼭 보관하고, 사용 흔적이 없는 경우 세관 검사가 강화될 수 있어요.
🧾 구입 영수증 없이 고가 명품을 착용하고 입국하다가 세관에 적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. 특히 고가 시계, 명품 가방 등은 ‘사용 흔적이 없다’고 판단되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😥 실제 사례 – “이럴 줄 몰랐어요”
A 씨(29)는 유럽에서 구매한 고가의 브랜드 가방을 들고 귀국하다가 세관에서 조사를 받았어요. 새 제품이라는 증거(택, 포장)가 남아 있었고, 면세 한도(800달러)를 초과했기 때문에 과세 + 가산세까지 물게 되었다고 해요.
또 다른 여행자 B 씨(41)는 기내용 백팩에 150ml짜리 로션을 그대로 넣어두었다가 보안 검색대에서 압수 조치를 당했어요. 100ml를 초과하는 액체는 어떤 경우에도 허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죠.
🪴 이런 글도 있어요.
🔗 자료 출처
- 한국공항공사 – 기내 반입 금지 물품
- 관세청 – 면세 기준 안내 바로가기
📖 in English
Carry-on Banned Items & Duty-Free Limits (2025)
A complete guide to what's not allowed in your cabin bag and the latest customs allowances for travelers entering Korea.